[IT용어] 네트워크 관련 용어


네트워크 관련 용어


LAN(Local Area Network)

한 건물 내 또는 학교나 회사 등 비교적 좁은 범위에 한정된 지역 내에 있는 컴퓨터를 통신선으로 연결한 네트워크로, 근거리 통신망이라고도 한다.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으로, 먼 거리의 지역을 하나로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말한다.

공중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전용선이나 ISDN 등을 이용하여 위치적으로 떨어진 지역 내에 있는 컴퓨터를 광범위하게 연결한 네트워크로, 관역 통신망이라고도 한다.


방화벽(Firewall)

인터넷 접속 시 외부 네트워크로부터의 액세스에 대해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 특정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프로토콜

컴퓨터끼리 통신을 할 때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나 데이터 구성 등이 양쪽 모두 통일 되어야 하기 때문에 프로토콜이라는 공통된 약속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필요한 통신 장비 간에 서로 정해 놓은 규칙과 약속을 말한다. 인터넷에서는 TCP/IP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TCP/IP 프로토콜

TCP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고, IP는 TCP가 분할한 데이터에 송신처를 붙여서 네트워크로 보낸다.

엄밀히는 TCP와 IP라는 프로토콜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군을 총칭하여 TCP/IP라고 한다.


HTTP 프로토콜

웹브라우저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HTML 파일이나 그림을 보내고 받는다. 각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지원한다.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이다. 인터넷에서 http://www..로 되어 있는 것은 www 주소에서 문서 전송을 HTTP 통신 규약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FTP 프로토콜

컴퓨터끼리 파일을 전송한다.


telnet 프로토콜

네트워크상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명령 입력으로 컴퓨터를 조작한다.


SMTP 프로토콜

전자메일을 보내는데 사용되는 TCP/IP 프로토콜이다. SMTP에 메일을 받는 기능도 있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고 , 주로 POP가 처리한다.


POP (Post Office Protocol)

Post Office Protocol의 약자로, 메일 서버로부터 전자메일을 받는 데 사용되는 TCP/IP 프로토콜이다.


TCP&UDP

TCP/IP 5계층 중 트랜스포트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TCP는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을 UDP는 데이터 전송의 속도를 강조한 프로토콜이다.


IP 전화

정확히 말하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을 말하며, IP 망에서 음성 데이터를 실어서 전송하는 것이다. IP망은 기존의 전화선과는 달리 여러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며 비용이 저렴하고 확장성 뛰어나다.


IP 주소

인터넷 상의 컴퓨터들을 식별하기 위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 주어지는 숫자로, 일반적으로 32비트로 나타낸다. 인터넷 접속 시마다 바뀌는 유동 IP와 ISP로부터 부여받은 고정 IP가 있다.

숫자로 된 IP주소를 www.cyber.co.kr과 같이 알기 쉽게 만든 것이 도메인이다.


IP 헤더

데이터를 누가 누구에게 보내는지 또한 어떤 경로로 보내는지 등과 같은 정보를 모아 둔 것으로, 송신 측 IP주소와 수신측 IP 주소 등이 들어간다.


IPv4

IP version 4를 말하는 것으로 현재 인터넷 공인 IP 주소 체계이다. IP주소를 32비트로 나타내며, 약 42억개를 표현할 수 있다. IP주소는 전세계 컴퓨터마다 고유해야 하므로 IPv4로 표현할 수 있는 IP 주소가 고갈될 것을 대비해, 128비트를 사용하여 거의 무한대의 IP주소를 가질 수 있는 IPv6의 사용을 검토하고 있다.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에서 네트워크와 호스트부의 경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32비트의 숫자다. 서브넷

마스크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ICMP

목적지로 가는 경로를 찾아 주는 기능밖에 없는 IP 프로토콜을 도와서 목적지에 제대로 도착했는지 등과 같은 오류 메시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ICMP 메시지는 IP 패킷안에 삽입되어 보내지는데, 이것을 캡슐화라고 한다.


메일러(mailer)

전자메일을 주고 받는 데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말한다. MUA(Mail User Agent)

라고도 한다. 아룻룩이란 유도라 등이 있다.


웹 서버

웹 정보의 발신을 목적으로 한 서버이다. HTML 문서나 그림, 음성, 동영상 등의 정보를 저장해두고, 웹 브라우저로부터 요청이 있을 EO 필요한 정보를 송신한다.


NIC(Network Interface Card)

흔히 랜 카드라고 불리는 것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확장 카드다.

메인보드의 형태에 따라 ISA용과 EISA용이 있다.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의 약자로, 랜 카드마다 할당되어 있는 고유한 물리 주소를 말한다. 길이는 48비트이며,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들은 이 주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특정한 포트를 찾는다. 네트워크 상에서 설정된 논리 주소인 IP 주소와는 달리 변경할 수 없다.


데이터베이스 서버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서버이다.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나 다른 서버로부터 명령을 처리하여 결과를 반환한다.


라이선스

스프트웨어 제품을 이용하기 전에 이용 허가를 받는 것으로, 라이선스 인증을 하면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통신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의 사이에 주고 받기 위한 약속된 규약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TCP/IP이다. 갑과 을의 컴퓨터가 서로 자료를 주고 받을 때 어떠한 형식으로 주고 받을 것인지를 사전에 약속하는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언제 통신할 지를 서로 약속할 수 있다.


포트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호스트에서 웹서버와 FTP서버가 실행될 수 있다. 동일한 호스트에 여러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호스트 주소 만으로는 원하는 서버 프로그램에 접속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각 서버는 고유의 포트 번호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클라이언트는 이 포트 번호를 이용해서 원하는 서버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통신 장비에서 다른 장치와 물리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을 말하며, 특히 TCP/IP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상의 특정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통신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출입구로, 포트 번호에 따라 데이터의 행선지가 정해진다.)


패킷(packet)

데이터 전송시에 데이터를 일정한 크키로 잘라서 보내는데, 패킷이란 이때 사용되는 정보의 전송 단위이다. 한 패킷은 보통 1024비트이다. 각 패킷에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수신처, 주소, 제어 부호 등의 제어 정보가 담겨 있다.


MIME(Mu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인터넷 메일 교환을 위한 멀티미디어 문서 타입을 정의한 것이다. MIME 타입으로는 text, application, image, audio, video 등 7개가 있으며, 모두 원할한 문서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스트리밍(streaming)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와 동시에 재생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stream은 ‘물이 흐른다’는 뜻으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와 동시에 재생이 가능하도록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프로바이더(provider)

일반적으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개인이난 기업체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 웹사이트 구축 및 웹호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를 말한다. 


라우터(router)

목적지까지 가장 빠른 길을 찾아 주면서 네트워크 간을 연결하는 장비로, 인터넷은 수많은 라우터들이 서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거대한 네트워크이다.


라우팅(routing)
라우터는 들어오는 모든 패킷을 목적지로 보내는 역할 가지고 있는데, 이 과정, 즉 목적지로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라우팅이라고 한다. 라우팅에는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 두 종류가 있다.

라우팅 테이블
라우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모아 놓은 테이블로, 수신 네트워크 주소와 다음 홉(hop) 주소, 경과 시간 등이 들어간퀱os(Denial of Service) 공격
한 사용자가 시스템의 리소스를 독점하거나 모두 사용 또는 파괴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들이 이 시스템의 서비스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Dos(Denial of Service) 공격
한 사용자가 시스템의 리소스를 독점하거나 모두 사용 또는 파괴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들이 이 시스템의 서비스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
전 세계의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거대한 통신망으로,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www 
인터넷으로 연결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공간을 말한다.

cp.) WWW의 구조 
웹 페이지를 네트워크서 이용하기 위한 구조를 'WWW'라고 한다. WWW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웹 서버’라고 한다. 또한 컴퓨터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웹서버’라고도 한다.
- WWW를 지지하는 기술 -HTML,CSS
요소란 시작태그부터 종료태그까지를 말한다.(요소=태그)
웹 브라우저에서는 HTML 태그는 표시되지 않고, HTML 태그 사이에 있는 요소의 내용만 표시된다.
cf.) Element 오브젝트: form 오브젝트의 각 부품에 해당
    배열요소: 하나의 배열에 들어간 각각의 값을 말한다.(첨자로 구분한다.) JavaScript에서는 배열 요소에 따른 다른 데이터형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URL(Uniform Resource Lacator)
네트워크에서 자원이 어디에 알려주기 위한 식별자를 말한다. 흔히 URL을 웹 사이트 주소라고 한다.

도메인
1. 도메인이란
- IP: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이다.
- 네임 서버: 도메인 요청을 고유 IP로 변경해준다. → 요청 컴퓨터에 전달하여 해당 IP로 접속한다.
- 도메인 구성요소
ex.) daum.co.kr
daum: 컴퓨터의 이름
- URL의 이해
opentutorials.org/course/234/2345 → URL
도메인: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는 서버를 식별하는 단위
URL: 서버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것
cf.) 도메인 검색 업체: whoisdomain.kr, 카페 24
blognaver.0002.org(155.68.234.22)
www.0002.org(123.234.12.34) (www 생략시 www자동포함 → default)        
 → 호스트 2개에 도메인이 한 개, 하나의 도메인으로 여러개의 호스트에 연결
- 호스트: 데이터에 의해 실제 서비스하는 컴퓨터
www와 blognaver가 호스트에 해당한다.


포워딩(forwarding)

도메인으로 접근한 사용자를 다른 도메인으로 보내는 행위

ex) 0002.org로 접근시 → opentutorials.org로 보냄

고정포워딩: 도메인이 바뀐 것이나 브라우저 상에서 ooo2.org가 그대로 유지

유동포워딩: ooo2.org로 접근시 주소가 opentutorials.org로 변경하여 이동


네임 서버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를 알려주는 서비스

cf.) DNS server

웹 기반 도메인 관리 서비스


SSH(Secure Sell)- 통신 프로토콜

원격지 컴퓨터: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

SSH 서버가 설치 되어 있는 컴퓨터를 SSH Client 컴퓨터로 쉘로 제어한다.

cf.) 쉘: 명령어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제어하는 방식- 명령어 방식으로 원격지의 컴퓨터를 제어하는 방식이 SSH이다.

cf.) 예전에는 telnet으로 원격지 제어했다. 그러나 보안 취약(평문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중요한 문장에는 SSH라는 암호화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따라서

데이터를 중간에 가로 채도 암호화 문장 취득하므로 소용없다.

cf.) 윈도우 운영체제에는 기본적으로 SSH Client 설치 -> 따로 설치 요한다.(putty, xshell)

    SHH server: 리눅스에서 따로 설치 요한다.


host 파일

host를 이용하면 특정 ip에 해당하는 ip를 직접 자신의 컴퓨터에 셋팅할 수 있다.

tip) cmd에서 "ping daum.net" → 어떤 ip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cf.) hosts 파일 변경 후 관리자의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hosts 파일은 중요한 파일이므로 관리자만 수정 가능)

cf.) 브라우저가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를 찾는 순서

1 local cache를 검색한다. ipconfig /renew → locacache 내용 삭제

2 hosts 파일을 검색한다.

3 도메인 네임서버를 검색한다.


Header

송신측의 각 계층에서는 수신측의 동일한 계층에서 필요한 정보를 공통된 서식으로 데이터에 추가해 간다.

헤더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 앞에 추가한 것을 말한다.

데이터 뒤에 추가하는 것을 트레일러라고 한다.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용어] OS 관련 용어  (0) 2014.12.20
[IT용어] ㅎ  (0) 2014.12.20
[IT용어] ㅍ  (0) 2014.12.20
[IT용어] ㅌ  (0) 2014.12.20
[IT용어] ㅋ  (0) 2014.12.20